콩 생산
생산동향
콩은 저가의 외국산수입, 농촌노동력 감소 등으로 ’85년 13천ha 에서 ’03년 7천ha 미만까지 재배면적이 감소되었으나 ’04년 7,400ha로 증가하였으며, ’05년의 경우 전년도 콩가격 급상승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인 재배면적 확대가 있었음.
이후, 한미 FTA 등 농업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있으나, 웰빙 건강 식품으로서 콩 및 2차 발효식품 등이 부각되고 있어 국산 콩 수요량 증가에 따라 재배면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도는 2020년 현재 전국대비 약 9.7%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연도별 콩재배 및 생산동향
연도별 | 전국 | 강원 | 대비(%) | |||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면적(ha) | 생산량(톤) | 재배면적 | 생산량 | |
’85년 | 155,964 | 233,863 | 13,179 | 20,955 | 8.5 | 9.0 |
’90년 | 152,265 | 232,786 | 10,400 | 15,496 | 6.8 | 6.7 |
’95년 | 105,035 | 159,640 | 6,454 | 8,455 | 6.1 | 5.3 |
’00년 | 86,176 | 113,196 | 7,521 | 10,981 | 8.7 | 9.7 |
’01년 | 78,415 | 117,723 | 7,886 | 10,804 | 10.0 | 9.2 |
’02년 | 80,804 | 115,024 | 7,166 | 11,107 | 8.9 | 6.2 |
’03년 | 80,447 | 105,089 | 6,892 | 8,201 | 10.2 | 7.8 |
’04년 | 85,270 | 138,570 | 7,414 | 12,381 | 8.7 | 8.9 |
’05년 | 105,421 | 183,338 | 10,194 | 17,941 | 9.7 | 9.8 |
’06년 | 90,248 | 156,404 | 8,366 | 15,142 | 9.3 | 9.7 |
’07년 | 76,267 | 114,245 | 6,536 | 10,419 | 8.6 | 9.1 |
’08년 | 75,242 | 132,674 | 6,868 | 11,380 | 9.1 | 8.6 |
’09년 | 70,265 | 139,251 | 7,182 | 14,947 | 10.2 | 10.7 |
’10년 | 71,422 | 105,345 | 7,059 | 10,730 | 9.9 | 10.2 |
’12년 | 80,842 | 122,518 | 6,715 | 11,445 | 8.3 | 9.3 |
’13년 | 80,031 | 154,067 | 7,837 | 14,766 | 9.8 | 9.6 |
’14년 | 74,652 | 139,267 | 7,546 | 15,534 | 10.1 | 11.2 |
’15년 | 56,666 | 103,504 | 4,899 | 9,952 | 8.6 | 9.6 |
’16년 | 49,014 | 75,448 | 4,392 | 8,354 | 9.0 | 11.1 |
’17년 | 58,044 | 101,166 | 5,596 | 7,740 | 9.6 | 7.7 |
’18년 | 62,826 | 106,082 | 5,172 | 9,048 | 8.2 | 8.5 |
’19년 | 71,679 | 125,151 | 5,925 | 10,952 | 8.3 | 8.8 |
’20년 | 66,735 | 98,677 | 5,940 | 9,560 | 8.9 | 9.7 |
콩 재배확대의 필요성
고랭지 채소의 연작재배로 인한 토양의 지력저하 및 산성화 방지, 채소 과잉생산에 따른 작목 전환으로 수급 및 가격불안정에 대처하고, 웰빙· 기능성·안전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른 국산콩 수요량 증가에 부응해 확대재배가 필요한 실정이다.
콩 재배확대 추진방향
소규모 분산재배에서 집단화, 규모화 재배 유도
우량 신품종의 육성 · 생력화 재배기술 개발 보급
유통·가공시설 확충 및 가공기술 개발
농협, 대형마트 등 계약재배, 직거래 추진을 통하여 안정적인 판로 확보
향후계획
식량작물 수급안정화 차원에서 현재 농협이 자율적으로 계약재배하여 전량 수매하므로 지역농협과 협조해 재배면적을 확보하도록 최대한 행정지원을 하고 소포장단위로 판매를 확대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도해 나갈 계획이다.
최근 업데이트 2022-12-05